전체 글 297

백엔드 엔드(Back-End)

백엔드 개발이 무엇인가에 대한 질문을 받았다. '보이지 않는 곳에서 시스템의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이라고 답하였다. 과연이게 맞는 것일까  백엔드(Back-end) 웹이나 앱에서 사용자의 행동을 처리하고, 정보를 저장, 관리, 전달하며, 서버와 데이터베이스를 관리서버나 데이터베이스, API  개발을 맡음즉, 웹 사이트의 뒷단에서 정보를 처리하고 저장하는 역할을 맡음예) 회원가입, 글쓰기  백엔드의 역할과 기능을 제대로 알지 못하고 있었고 그에 따라 전체적인 방향성에 문제가 생겼다는것을 깨달음..

organize/웹기초 2024.12.18

컬렉션 프레임워크(1) Map

컬렉션 프레임워크는 모든 자바 교재를 보면 뒷부분에 나오는 것이지만 생각보다 자주 까먹게 되는 부분인 것 같다. 따라서 정리가 필요할 것 같다는 생각이 들었다. 자주 사용하려고 노력도 필요하지만 언제, 어떤 식으로 사용되는지 등을 다시 알아보는 시간을 가져고 보자 한다. Map 정의 및 특징컬렉션 프레임워크에서 키(Key)와 값(Value) 쌍으로 데이터를 저장하고 관리하는 자료 구조.데이터를 빠르게 검색, 수정, 삭제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키는 유일해야 함. 동일한 키에 대해 여러 값을 저장할 수 없음값은 중복이 가능함. 같은 값은 여러 키에 중복될 수 있음null의 키와 값 Map의 일부에서는 허용됨 정의는 쉽게 키-값 쌍으로 저장된 구조로 간단히 정리가 되는데 map은 언제 사용할까? 라는 의문이 ..

자바 배열과 배열 정렬

프로그래머스 Lv0 ~ Lv1을 풀면서 느낀 점은 배열 정렬을 자주 사용한다. 그만큼 배열 정렬은 다양한 상황(데이터 처리나 알고리즘 구현)에서 필요한 기능이다. 하지만 매번 헷갈려서 검색으로 해결했다. 그렇다 보니 한 번 풀고 나면 또 금방 잊어버리는 경우가 많았다. 매 번 검색하는 것도 번거롭고 내 나름대로 정리하고 이것을 머릿속에 넣어두기 위해 정리하고자 한다. 배열자바에서 배열은 여러 종류로 나누어짐. 배열은 데이터를 연속적으로 저장하는 자료 구조로, 특정한 데이터 타입에 맞춰 고정된 크기를 가짐. 배열의 종류로는 기본 배열(문자 배열, 객체 배열), 다차원 배열(2차원 이상 배열), 가변 배열이 있음. 1. 기본 배열단일 데이터 타입(int, char, String 등)의 값들을 하나의 배열로 ..

justBoard15 댓글 구현(6) 完

댓글 페이징 처리를 숨겨야한다.  글 읽기글번호${boardDTO.no}글쓴이${boardDTO.id}조회수${boardDTO.readcount}작성일글제목${boardDTO.subject}글내용${boardDTO.content} 댓글은 회원만 작성 및 확인 할 수 있습니다. 확인을 위해서 회원 가입해주세요.댓글비밀글 댓글 목록 비밀 댓글은 굵게 표시됩니다. 작성된 댓글이 없습니다. 작성자: ${replyDTO.id} 비밀글입니다..

justBoard15 댓글 구현(5) 댓글 페이지 처리

댓글 페이지 처리는 게시판 글 페이지 처리와 마찬가지로 PageDTO를 이용하면 될 것 같다.그래서 Controller, Service, DAO에 pageDTO객체만 추가해 주면 될 것 같다는 생각이 들었다. BoardController @GetMapping("/content") public String content(BoardDTO boardDTO, ReplyDTO replyDTO, PageDTO pageDTO,HttpServletRequest request, Model model) { System.out.println("BoardController Content()"); boardDTO = boardService.getBoard(boardDTO); //글에 대한 정보 boardService.re..

justBoard14 댓글 구현(4)

지난번 reply 테이블에 board 테이블의 no를 외래키로 지정했다.그리고 다음과 같이 추가 수정했다.content.jsp 글 읽기글번호${boardDTO.no}글쓴이${boardDTO.id}조회수${boardDTO.readcount}작성일${boardDTO.writetime}글제목${boardDTO.subject}글내용${boardDTO.content} 댓글비밀글 댓글 목록${replyDTO.id}${replyDTO.replyContent}  BoardController @PostMapping("/replyInsertPro") public String replyInsertPro(ReplyDTO replyDTO, Model model) { System.out.println("BoardCont..

justBoard13 댓글 구현(3) 데이터

화면까지 구성했고 어떤 식으로 주소매핑을 해야 할지 정했다.이번에는 주소매핑에서 mapper까지 설정해 보도록 하겠다. 이전글에서 Update로 되어있는 부분은 Insert로 수정하였다. 댓글을 작성하고 작성 버튼을 누르면 /board/replyInsertPro 여기서 댓글을 작성하는 처리과정을 거치게 된다. 이 과정부터 시작해 보도록 하자 BoardController @PostMapping("/replyInsertPro") public String replyInsertPro(ReplyDTO replyDTO, Model model) { System.out.println("BoardController replyInsertPro()"); BoardDTO boardDTO = new BoardDTO(); ..

justBoard12 댓글 구현(2) 화면

2일 전 화면 구성에 대해서 테이블 생성과 DTO를 만들었다.오늘은 화면 구성을 구현하고 다음에 기능을 구현하도록 할 예정이다. board/content.jsp에 대충 hr태그와 textarea태그를 넣어서 검사를 통해 크기 조정을 해보았다.  추가해야 할 부분은 등록하는 버튼, 작성자, 비밀글 체크박스가 될 것이다. 추가해야 할 부분을 추가해보았다. 글 읽기글번호${boardDTO.no}글쓴이${boardDTO.id}조회수${boardDTO.readcount}작성일${boardDTO.writetime}글제목${boardDTO.subject}글내용${boardDTO.content} 댓글비밀글 뭔가 그럴싸해보인다. 생각보다 나쁘지 않다고 느껴진다. 다음으로는 댓글 목록이 필요하다. 댓글 목록은 댓..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