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rganize/데이터베이스

Databse란?

001cloudid 2023. 12. 2. 14:50
728x90

※생활코딩에 영상을 참고하여 작성하였습니다.

DB(데이터베이스)를 시작하기 전

 

데이터가 중요한 이유에 대해서 생각해 본 적이 있는가?

다양한 이유가 나올 것이다.

 

데이터가 중요한 이유 중 하나는 데이터를 가공해서 다양한 일을 할 수 있기 때문일 것이다.

 

이렇게 중요한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는 수단 중 하나는 file(파일)이 될 것이다.

 

또 파일이 가지고 있는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고안된 전문화된 소프트웨어가 바로 DB이다.

DB를 이용하면 소중한 데이터를 안전하고 빠르게 보관 및 사용할 수 있다.

 

DB의 본질

DB는 정보의 도구이다.

DB를 어떻게 입력하고 출력하는지를 따져본다면 그 DB를 사용할 수 있다고 할 수 있다.

그림 1. DB 입력과 출력. 출처:생활코딩

데이터 입력에는 데이터의 생성(Create), 수정(Update), 삭제(Delete), 데이터 출력에는 데이터의 읽기(Read)가 있다.

데이터의 핵심적인 작업(생성 수정 삭제 읽기)을 CRUD라고 한다.

 

DB와 File

만약 DB 제품들에 대한 설명 소개한다고 가정해보자, 그렇다면 파일을 만들고 그 생성된 파일 안에 텍스트 파일을 만들어 텍스트 파일안에 DB 제품들의 설명과 날짜, 작성자, 프로파일 등을 써넣고 저장할 것이다.(그림 2)

그림 2. DB제품들에 대한 설명 소개

여기서 문제는 특정 작성자가 쓴 텍스트 파일만 보고자 할 때 또는 이 DB제품들에 대한 본문만 보고 싶다면? 이 방법은 좋지 않다는 것을 쉽게 깨닫게 될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조금 더 원하는 것을 쉽게 찾기 위해서 스프레드시트로 DB 제품에 대한 소개글을 만들 것이다.

그림 3. 스프레드 시트를 이용한 DB 제품 소개. 출처:생활코딩

스프레드시트를 이용하면 특정한 저자, 날짜 오름차순/내림차순, 본문에 해당하는 글을 감추기 등을 할 수 있다.

이렇게 구조적으로 정리정돈을 했을 때 '데이터를 가공하는 것이 훨씬 쉬워진다.'라는 중요한 효과들을 볼 수 있다. 

 

Database를 통해서 자동화를 할 수 있다. 어떠한 조건에 따라서 자동으로 데이터를 생성, 수정, 삭제하고 읽을 수 있다.

 

관계형 DB가 아닌 MongoDB는 Document store이다. 이는 관계형 DB에 맞지 않는 DB는 관계형 DB가 억압으로 작용할 수 있다. 그런 경우에 사용하는 DB이다.

 

※참고 및 출처 : 생활코딩(https://opentutorials.org/course/, https://www.youtube.com/@coohde)

728x90

'organize > 데이터베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DBMS  (1) 2024.10.06